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3
- 페이튼 떠돌이상인
- 베른 떠돌이상인
- 파푸니카 떠돌이상인
- HWP
- zoom
- SE
- https
- 특정페이지가로로
- 홈페이지제작견적
- 욘 떠돌이상인
- 로헨델 떠돌이상인
- 가로세로세팅
- 작은화면
- 이름바꾸기
- 유튜브
- 아르데타인 떠돌이상인
- 애니츠 떠돌이상인
- SSL
- 한글
- sm
- PIP모드
- IT용어
- 슈샤이어 떠돌이상인
- 루테란 떠돌이상인
- 토토이크 떠돌이상인
- SI
- Today
- Total
도담도담
정규 표현식 패턴 작성하기 본문
일하다가 표현식을 아냐는 말을 들었다. 잘 몰랐다.
그래서 알려주시는거 듣고 인터넷에서 보면서 일은 처리했는데
그러면서 배운거 정리해두려고 한다.
단순패턴
/~~/ 내부에 있는단어를 글자 그대로 인식한다.
예를들어
/패턴/ 이라고 표현을 하면 "패턴"이라는 단어가 포함되 내용들에 반응하는것이다.
- 정규 표현식 패턴이 뭐에요?
- 너 생활 패턴이 어떻게 되?
하지만 "패 턴" 이라던가 "pattern", 혹은 "페턴" 이라는 식으로 조금만 달라지게 되더라도 반응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특수문자를 사용해서 여러 경우의 수를 대비하는 방식을 주로 취한다.
특수문자를 사용한 패턴
/~~/ 내부안에 특수기호를 사용하여 글자의 반응 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늘린다.
예를들어
/패턴/ 을 똑같이 표현할 때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들을 나열해 보겠다.
(물론 얕게 배운것만 정리하는 중 이다. 다양한 패턴들은 저기 어디 딴데 많이 설명되있을꺼다.)
/패\s턴/ -> "패 턴"
/패\s?턴/ -> "패턴","패 턴"
/패턴|페턴/ -> "패턴","페턴"
/(패|페)(턴|텬)/ -> "패턴","패텬","페턴","페텬"
/(P|p)(A|a)(T|t)(T|t)(E|e)(R|r)(N|n)/ -> "Pattern","pattern","PATTERN", ...
이런식으로 반응이 되는 다양한 경우의 수들을 보강 할 수 있다.
몇몇가지만 특수기호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s | 스페이스의 역할이다. 글자 사이에서 띄어쓰기를 구분해야할 때 사용되는 듯 하다. |
? | 물을표 앞에있는게 있던가 없던가 상관없이 반응해준다. 예1) (표현식)(종류)? -> "표현식", "표현식종류" 예2) 패\s?턴 -> "패턴","패 턴" (스페이스가 있던가 없던가 (한번만)) |
| | or, '또는' 의 역활이다. 구분선처럼 사용되어서 여러 조건들을 나열 할 수 있게 해준다. 예1) A|B -> "A" 혹은 "B" 예2) (A|a)(B|b) -> "AB","Ab","aB","ab" |
* | 무제한 표시 같은거여서, 앞에 조건이 얼마나 반복되고 상관이 없다. 예1) (패)*(턴) -> "패패패패패턴" 예2) 패\s*턴 -> "패 턴" 이렇게도 반응해준다 (스페이스가 몇개가 있던 상관이 없음) |
. | 그냥 아무거나 들어갈 수 있는 공간 (숫자 특수기호 포함) 예1) 패.턴 -> "패1턴" 예2) 패.*턴-> "패로시작하는말이뭐있더라턴" |
[] | 지정된 조건범위 내에서의 모든 경우를 반응해 준다. 예1) [a-z] -> "a", "dkanrjsk", "acd...." (대신 이렇게 되어있으면 대문자는 반응을 안해준다) 예2) [표포][현형] -> "표현"을 나타낼 수있는 경우의 수 예3) [매|메]{2} -> 매매,메메 같이 두번 사용되는거 |
: | : 뒤에있는 내용을 반응하는 방식이다. 예) 표현\s*(?:패턴|?:방식)? -> "표현", "표현패턴", "표현방식" ( |
결과적으로 위에 있던 경우의 수들을 종합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패|페)\s?(턴|텬)|(P|p)(A|a)(T|t)(T|t)(E|e)(R|r)(N|n)/
-> "패턴","패 턴","패텬","페턴","페텬","Pattern","pattern","PATTERN", ...
이런식으로 조건들을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표현식 확인하는 사이트
표현식 알려주신 분이 참고하라고 알려주셨던 사이트다.
기본적으로는 이 표현식이 단어들과 잘 반응하는지 확인하는 용도이다.
사용방법으로는
이런식으로 뭐 써보는데 하이라이트가 쳐지면 그 부분은 잘 작동하는거다.
또 다른 추천사이트로는 그림으로 보는 패턴 현황이 있다.
여기서는 위에 표현식을 넣으면 아래에 그 표현식을 그림으로 설명해준다.
구조가 복잡해서 한눈에 안들어올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IT 공부 > 개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 code 에서 Tap키 활용 (0) | 2021.12.29 |
---|---|
VS Code 에서 Javascript 연결해서 사용 (0) | 2021.12.22 |
IT용어 SI, SM, SE 란 무엇인가? (0) | 2021.09.24 |
홈페이지 제작 견적 확인사항 (0) | 2021.09.23 |
SSL 과 HTTPS (0) | 2021.09.17 |